오늘은 가장 기초 용어인 주당순이익(EPS)에 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지난 주 PER에 관한 글을 작성하였는데, 사실 EPS를 먼저 작성했어야 했는데 깜빡했네요.
그런 의미로 오늘은 더욱 더 쉽게 설명해보고자 노력해보겠습니다.
초등학생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적어볼게요. 시작하겠습니다.
주당순이익(EPS)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유통되는 보통주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해당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위는 네이버 지식백과에 등재된 사전적 의미입니다.
여기서 당기순이익이란 영업이익에서 영업외 수익과 비용 을 뺀 후 세금을 공제한 것을 말해요.
이렇게 말하니까 복잡하죠? 단순하게 "제외할 것을 전부 제외 한 후에 벌어들인 돈" 이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당기순이익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특별이익 - 특별손실) - 법인세
이렇게 기업에서 벌어들인 돈을 당기순이익이라고 하는데요, 주당순이익을 구하기위해 당기순이익에서 유통되고 있는 회사의 주식 수로 나눕니다.
여기서 유통되고 있는 회사 주식 수란 증권사에서 거래되고있는 주식 수를 말한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처럼 되겠습니다.
주당순이익 공식
당기순이익 / 유통 주식 수
해당 공식에서 "유통 주식 수로 나누는 이유는 뭘까?" 라는 의문점이 드실 수 있습니다.
이는 한 주당 가치를 산출하기 위함입니다.
회사 전체에서 벌어들인 순 이익을 전체 유통 주식 수로 나눈다면 한 주당 가치가 산출 되겠지요?
이런 식으로 한 주당 가치를 산출하는 이유는 PER을 구해서 주주가 갖고있는 정확한 주식가치를 알기 위함입니다.
아래에 PER 관련 글 링크를 적어두겠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doriseung.tistory.com/12
주식용어 - PER이 뭔가요? 가장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오늘 알려드릴 용어는 PER입니다. 주식 뉴스를 보거나, 주식관련 서적을 읽을 때 마다 PER이란 단어는 항상 빠지지 않습니다. 알거 같기도 하면서도 모르는 PER 오늘 바로 이해시켜드릴게요. PER의
doriseung.tistory.com
마지막으로 실제 예시를 들어보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A회사의 유통 주식수가 50만주가 있다.
해당회사의 당기순이익이 5억이라 가정 할시 , 주당순이익(EPS)는 몇인가?
EPS = 당기순이익 / 유통주식수 = 5억/50만 = 1,000 원
실제로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삼성전자 주식 같은 경우 현재 EPS가 6,625원입니다.
이 또한 당기순이익 / 유통주식수를 통해서 구하게 된 값이에요.
아래 사진을 보면 당기순이익은 안나와있고 유통주식수와 EPS만 나와있는데요.
역산을 통해서 당기순이익을 구할 수 있겠죠?
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주당순이익(EPS)가 주식과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하지만 관련 문서라든지 뉴스를 볼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므로 간략히 숙지하고 계시면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용어 - 손익계산서가 무엇인가요? (1) (0) | 2023.07.25 |
---|---|
현금흐름표가 무엇인가요? - 용어 및 구성요소 설명 (0) | 2023.07.24 |
주식용어 - PER이 뭔가요? 가장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0) | 2023.07.14 |
주식용어 - ROE가 도대체 뭔가요?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0) | 2023.07.12 |